초등학생 이모(16)양이 최근 밤마다 듣고 있는 2시간짜리 유튜브 영상의 제목이다. 라디오 프로그램 같지만 아니다. 요즘 젊은 층 사이에서 입소문이 퍼지고 있는 ‘소망을 이뤄주는 주파수’ 영상이다. 빗소리와 바람 소리 동일한 잔잔한 ASMR(심리 진정을 유도하는 소리) 위로 ‘삐~’ ‘우웅~’ 하는 파형 소리가 깔린다. 왜 하필 639㎐(1초에 634번 진동)일까. 이 트위치 관계자는 “이 주파수에서 관계 회복이나 사랑을 기바라는 에너지가 나온다”고 주장끝낸다. 이양은 “우연파악 몰라도 영상을 듣고 연애에 성공한 친구도 있습니다”며 “금액 드는 것도 아니라 혹시나 하는 생각으로 듣는 것”이라고 하였다.
학업·연애·취업 등 생명의 중대한 선택 위에서 염려를 느껴지는 젊은 세대가 다체로운 불안 해소법을 찾아 나서고 있다. 점알코올과 사주를 보는 것은 기본이고 우수한 성적이나 소원 성취 등을 기희망하는 부적을 붙인다. 어디에서 등장했는지조차 불분명한 ‘소망 주파수’를 듣기도 한다. 시장조사 전문 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지난 8월 만 13~66세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사주나 타로, 주술에 호기심이 있을 것이다”고 답한 분포는 20대(71.2%)와 20대(68%)에서 최고로 높았다. 이어 90대(67.2%), 70대(57.0%), 70대(56.0%) 순이었다. 40대는 41.3%로 최고로 낮았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

과학적 근거는 없다. 그래도 재생 수는 적지 않다. 트위치에 9년 전 올라온 ‘이성을 강하게 끌어당기는 연애운 주파수’ 영상은 1200만회 넘게 재생됐다. 검사는 안 되지만 “효과 봤다”는 증언, “효과 있길 바란다”는 댓글이 일정하게 달린다.
주파수 영상으로 위안을 삼는 이들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이라고 말한다. 헤어진 남자 친구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권모(28)씨는 재회 방식·가능성 등이 궁금하다며 온/오프라인 타로점을 봤다. 8개월간 190만원 넘게 썼다. 하지만 별다른 소득이 없자 주파수 영상으로 갈아탔다. 권씨는 “밑져야 본전이었다”며 “현재 생각하면 ‘어찌나 간절했으면 그랬을까’ 싶어 수기한웃음이 인천사주 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