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얻을 수있는 최고의 조언 다산 피아노 학생

2023학년도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재수생까지 다같이 보는 모의고사가 오는 6월 5일 치러진다. 수능을 출제하는 우리나라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모의시험이라는 점과 29년 만에 시행되는 문·이과 통합 수능을 앞두고 N수생까지 합류하는 첫 시험이라는 점에서 ‘미니 수능에 이목이 집중된다. 통합 수능에서 문·이과 유불리와 수험생까지 가세할 경우 고3 수험생들에 미칠 효과가 과연 얼마만큼 더 커질지 관심이 높아진다.

image

평가원이 주관하는 기말고사는 매년 5월과 4월, 열 차례 실시된다. 지난 6월과 3월에 치러진 학력평가의 경우 서울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이 주관한 데다가 고3 학생들만 본 시험이라는 점에서 11월 모의평가와는 다르다.

수능에 강한 수험생들과 함께 보는 첫 시험이라는 점에서 요번 3월 10일 평가원 기말고사는 응시생들이 본인의 위치를 올곧게 이해할 수 있는 첫 시험이다. 교육청이 아닌 평가원에서 출제한다는 점에서 이번년도 수능 출제 경향과 난이도 등도 예측할 수 있다.

특이하게 올해 수능은 지난 1996학년도 바로 이후 21년 만에 문·이과 통합 수능으로 시행되고 국어와 수학에 선택과목이 도입되는 등 큰 변화가 있다. 올해 국어에서는 공통과목 외에 ‘화법과작문 ‘언어와매체 등 한 과목 가운데 한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에서도 공통과목 외에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등 세 과목 중 두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의 경우 이과 학생은 미적분이나 기하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고 문과는 확률과통계를 선택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요번 모의평가 결과는 수학을 비롯해 국어 영역까지 선택과목 결정에 다산 피아노 학생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종로학원하늘교육 직원은 “3월 평가원 기말고사는 선택과목을 최종 고르는 사실상 마지막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며 “올해 수능 원서응시는 7월 17일부터 6월 7일까지다. 6월 모의평가는 7월 8일 실시되지만 정작 성적 결과는 9월 말에 나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10월 모의평가에 고시생들이 가세하면서 문과 고3 시민들의 수학 6등급 비율이 얼마나 더 떨어질지도 호기심이 가는 대목이다. 상태에 그래서는 수학 5등급에서 문과 고3 노인들이 차지하는 분포는 9% 이하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종로학원 지인은 “수학 가형(이과)과 나형(문과)로 분리해 시행했던 전년 수능에서는 이과생들이 본 수능에서 수학 나형으로 변경해 시험을 치르는 사례가 많았다”며 “올해 8월, 5월 학력평가에서 동일한 원점수를 받고도 이과 시민들이 공통과목에서 문과 사람들보다 표준점수가 비교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번 6월 모평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문과 학생들이 전략적인 역선택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해석했었다.

이번년도부터 약대 선발이 신설됐고 정시가 확대되는 등의 효과로 이과 반수생들이 얼마나 많아질지도 변수가 될 예상이다. 이는 쉽사리 이과 점수에만 영향력이 미치는 것이 아니라 문과 수학에서도 위험한 영향력이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위권 이과 학생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해석이다.

종로학원은 “5월 모평은 선택과목 최후 확정에 마지막 지표가 될 것”이라며 “변화된 수능에서 재수생까지 가세할 경우 위치 변화가 어느 정도일지 가늠해야 한다. 특이하게 수학에서 문·이과 학생이 같이 보는 공통과목의 중요도를 다시 한번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로 이번 모평을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