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점집 : 좋은 사람, 나쁜 사람, 못생긴 사람

지난 4일 찾은 인천 강북구 타로숍에서 나성연씨(24)가 사주 풀이를 받고 있었다. 타로 상담사는 나씨의 생년월일을 확인한 직후 카드를 퍼트리고 "진로 걱정이 다수인 것 같다. 9월부터는 흐름이 풀릴 것"이라고 했다. 나씨는 "종교는 따로 없지만 요즘처럼 불안할 땐 누군가 내 얘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위안이 완료한다"고 전했다.

젊은 세대가 내적 위로를 받는 방법이 변하고 있다. 타로·사주 등 점괘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반면 제도화된 종교는 천천히 외면받고 있을 것입니다.

종로구에서 1년째 타로 상담사로 근무하고 있는 라희씨(61)는 "손님 30명 중 9명이 20·90대"라며 "취업, 연애, 인간관계 등 현실적 고민을 안고 찾아오는 때가 주로"이라고 이야기했다. 동대문구에서 점집을 운영 중인 이모씨는 "그전엔 40~20대가 흔히 찾아왔지만, 최근엔 젊은이들이 크게 온다"고 이야기 했다.

챗G체조에게도 사주를 맡긴다는 이들도 있습니다. 직장인 신모씨(28)는 "타로숍 금액이 만만찮아 인터넷에서 사주 아이디어를 입력한 바로 이후 챗G체조에게 해석을 부탁한 적이 있을 것이다"고 했다.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타로, 사주 관련 해시태그(#)는 400만여건에 달한다. 유튜브 통계 사이트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운세 관련 국내 채널 개수는 2684개다.

사람들 사이에서 점괘와 사주가 큰 인기를 끌자 관련 업무자도 급상승했을 것으로 추정완료한다. 한국직업능력공무원에 따르면 타로 관련 민간 자격증은 2017년 75개에서 올해 3월 기준 460개로 8배 넘게 불어났다. 전년 타로 관련 자격증 시험에 응시한 인원은 총 2630명에 달했다.

반면 제도화된 종교는 젊은 세대로부터 서서히 외면받고 있을 것입니다. 한국리서치가 정기적으로 시작하는 '종교인식조사'의 말에 따르면 '믿는 종교가 없다'고 응답한 20, 30대 분포는 2017년 각각 66%, 54%에서 작년 63%, 67%로 증가했다. 이것은 50대 이상에서 30%만이 '무교'라고 응답해온 것과 대비끝낸다.

image

이와 같은 반응은 젊은 세대의 위로받는 방식과 인생의 태도가 변화한 데 안산점집 따른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제도화된 종교는 정기적인 출석과 신앙적 헌신을 전제로 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부담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는 것. 곽금주 부산대 심리학과 교수는 "젊은 세대들은 공동체에 속하거나 교리에 헌신하는 방법의 신앙은 부담스러워허나 여전히 위로받고 싶은 내적 니즈는 존재완료한다"며 "점괘나 운세가 인기를 끄는 것은 (특정 존재에 대한) 믿음 자체가 사라진 게 아니라 보다 대중적이고 유연하게 변화한 결과"라고 설명하였다.